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아프리카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개발 잠재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집트
-이집트는 2011~18년 연평균 약 2.2%에 달하는 높은 인구증가율과 '아랍의 봄' 이후 경제 회복 및 산업 발달로 에너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전력공급 부족과 잦은 정전 문제를 겪었고, 2014년에는 심각한 에너지 위기에 직면하였습니다.
이에 이집트 정부는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에 맞춰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 확대를 목적으로 자국 내 잠재량이 높은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다변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법령, 제도 등을 도입합니다.
-이밖에도 이집트 정부는 재생에너지법에 의거, 민간 부문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 참여 독려를 위하여 경쟁 입찰, FIT, BOO 계약 등의 제도를 도입하고 사업 및 가정의 태양광 시스템 설치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원하며, 2017년 5월에 공포된 신투자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지 선정에 정부 소유 토지의 일부 할당,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 장비, 부품의 수입 관세율 인하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집트는 국토의 90%가 풍력발전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특히 수에즈만과 나일 강. 동서부 지역은 높은 평균 풍속으로 풍력발전에 매우 적합합니다. 수에즈만을 따라 100m 고도에서 평균 8~10.5m/s의 안정된 풍속을 유지하고 있으며, 나일 강 동 서부 지역은 80m 고도에서 평균 풍속 7.5m/s입니다.
-높은 일사량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 유리한 기후 조건을 갖고 있으며, 국토의 약 95%가 사막으로 이루어져 태양에너지 발전시설 설치에 적합합니다. 이집트는 풍부한 태양 복사열을 보유한 '태양 벨트' 지역에 위치하여 북부에서 남부까지 일조시간이 9~11시간이며, 흐린 날이 거의 없습니다. 이집트 정부는 현재 개발 중인 5개의 프로젝트와 추가 프로젝트를 통하여 2027년까지 태양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을 3,500MW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과 아직 개발되지 않은 풍부한 재생에너지원을 바탕으로 향후 10년 간(2020~30년) 이집트의 비수력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5.8 TWh에서 23.9 TWh로, 설비용량은 연평균 15.3% 성장하여 3,148MW에서 13.24GW로 4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인구 대비 전력보급률 84.4%, 취사용 청정연료 보급률 87%, 전력화율 94%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전력 공급률이 높은 수준입니다. 금융업, 제조업, 서비스산업 등의 발달이 우수한 남아공은 아프리카의 경제와 산업을 주도하며 아프리카 총 에너지 소비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영 전력공사인 Eskom의 재정난과 기존 에너지 발전 설비의 노후화, 기술 부족 등으로 전력 공급 불안정이 이어지면서 전력난이 심화되는 중으로 ,Eskom은 올해 100일 이상의 단전을 예상한 바 있습니다.
-남아공은 총발전량의 87.6%를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어 탄소 배출량이 매우 많은 상황입니다.
-남아공 정부는 전력난의 완화와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하여 재생에너지 분야의 발전을 적극 도모하고 있습니다. 2020년 경영난 해소 등을 위해 동사를 발전, 송전, 배전 부문으로 각각 분리하는 구조개혁을 진행하는 한편 노후화된 화력발전소를 대체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신설 등의 조치를 취했으며, 2020년 2월에는 '장기 저탄소 발전 전략'을 발표하며 2050년까지 그린 인프라 확충 및 탄소 중립 달성을 선언하였습니다.
-남아공 정부는 Eskom의 전력 독점 공급 상황을 경쟁 체제로 전환하기 위하여 민간 업체의 전력 판매를 허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 중입니다.
-남아공은 풍부한 재생에너지원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0년 남아공 발전소의 총설비용량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17%로 전년 대비 6% 증가하였습니다.
케냐
-케냐의 2020년 기준 인구 대비 전력보급률은 71.4%, 취사용 청정 연료 보급률은 20%로 에너지 보급의 확대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케냐는 동부 아프리카에서 전력보급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는 국가이자 재생에너지 발전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국가로, 정부의 다양한 정책이 이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주요 정책과 법령에는 '비전 2030 3차 중장기 계획'과 '에너지법'이 있습니다.
-케냐는 총발전량 및 발전설비 용량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으며, 특히 지열 등 비수력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케냐는 동아프리카 열곡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으로 지열 발전의 잠재력이 상당합니다.
-케냐는 지열 외에 풍력에너지 개발 잠재력도 높은 편으로, 지상으로부터 100m 높이에서의 풍속이 국토의 73%에서 초속 6m/s 이상이며 특히 북부의 Turkana 호수 주변 지역은 8.0m/s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은 아프리카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개발 잠재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이란의 디지털 인프라 개발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의 디지털 전환 정책 (45) | 2023.02.27 |
---|---|
이란의 디지털 인프라 개발 현황 (17) | 2023.02.26 |
중앙아시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 FDI 현황 (44) | 2023.02.22 |
중앙 아시아, 중국 간 경제협력 (43) | 2023.02.21 |
현대차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진출 (73) | 2023.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