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8

브라질의 국가개황과 경제동향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브라질의 국가개황과 경제동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개황 -브라질은 남미 대륙 중동부에 위치하여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 페루,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등 9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 인구 세계 7위 및 GDP 세계 10위의 경제규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브라질은 국제선인도 제고 및 무역 확대를 위해 OECD 가입 및 EU-메르코수르 FTA 비준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와 이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 태도로 인해 국제 사회와의 마찰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의 관계 경제동향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로 경기 회복세이나 경기 침체요인 상존합니다. 브라질 경제는 농산물, 원유, 광물 등 원자재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브.. 2023. 3. 5.
캄보디아의 정치와 사회안정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캄보디아의 정치와 사회안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치안정 -훈센 총리, 장기집권하며 안정적 정권 유지입니다. 훈센 현 총리가 이끄는 캄보디아국민당(CPP)이 2018년 총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훈센 총리는 1985년 이후 현재까지 37년째 집권하며 안정적으로 정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CPP는 2018년 총선에서 하원 전체 125석 전부를 차지하는 압승을 거두어 중앙집권적 권력 체계를 강화했으며, 정부기관과 군대, 사법부, 재계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2023년까지 정치적 안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훈센 총리의 장남 훈마네의 권력 세습 추진, 야당 탄압 등의 문제 상존입니다. 훈센 총리는 자신의 장남.. 2023. 3. 4.
캄보디아의 경제구조 및 정책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캄보디아의 경제구조 및 정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조적 취약성 -LDC(최빈개발도상국) 지위 상실에 따라 제조업 경쟁력 제고 필요합니다. 캄보디아 관세청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의류 및 신발 수출은 2022년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약 37% 증가하였으나, 3분기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9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7.6%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최빈개발도상국 지위 혜택과 낮은 인건비를 바탕으로 성장한 봉제산업은 2019년 캄보디아 GDP의 약 28%를 차지하는 주요 외화 수입원으로, 캄보디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7년으로 예상되는 최빈개발도상국 지위 상실과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주요 경쟁국 대비 높아진 인건비는 캄보디아.. 2023. 3. 3.
캄보디아의 경상수지 적자 지속 전망 : 국가개황, 경제동향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캄보디아의 에너지 비용 및 원자재 수입가격 상승으로 상품수지 및 경상수지 적자 지속 전망을 알아보기 전에, 국가개황, 경제동향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개황 -인도차이나 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캄보디아는 태국, 베트남, 라오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1953년 11월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입헌군주제와 양원제의 정치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국왕이 국가원수이나 총리가 실질적으로 국정을 운영 중입니다. -대표적 산업인 봉제 산업과 관광업을 바탕으로 2011~19년 간 연평균 7%대 경제성장을 지속한 결과 2015년 기준 1인당 GNI가 1,070달러를 기록하여 세계은행(World Bank) 분류 상 저 중소득국에 편입되며 농업 중심의 최빈국 지위에서 벗어났습.. 2023. 3. 2.
시진핑 3기의 중국식 발전모델과 한국경제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시진핑 3기의 중국식 발전모델, 20차 당대회 및 1중 전회의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백 년 목표 달성 선언 및 두 번째 백 년 목표 제시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가 2022년 10월 16일(일)부터 22일(토)까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최되어 업무보고가 채택되었고, 이를 통해 과거 10년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중국의 발전 방향이 제시되었습니다. 시진핑 1기(2013년~2017년)와 2기(2018년~2022년)가 겪어온 지난 5년 및 10년을 이례적이고 순탄하지 않으며 세계사적으로도 대변화의 시기였다고 규정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2021년 중국공산당 창당 백 주년을 맞아 첫 번째 백 년의 목표인 전면적인 샤오캉사회 건설을 성공.. 2023. 2. 28.
이란의 디지털 전환 정책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이란의 디지털 전환 정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란 정부는 원유 의존 경제에서 지식 경제로 변화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디지털 전환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해 디지털 인프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란 정부는 원유 의존 경제에서 지식경제로 변화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디지털 전화에 주목 중 -이란 정부는 디지털 경제 육성을 위하여 디지털 인프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란 정보통신부는 인프라 개발에 직, 간접적으로 협력하여 데이트 센터, CDNs 관련 정보통신 인프라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가정보망을 구축하고 정보의 디지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창구를 운영 중입니다. 또한 디지털 인프라 강화를 통한 디지털 경제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2021년 4.. 2023.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