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캄보디아의 경제구조 및 정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조적 취약성
-LDC(최빈개발도상국) 지위 상실에 따라 제조업 경쟁력 제고 필요합니다. 캄보디아 관세청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의류 및 신발 수출은 2022년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약 37% 증가하였으나, 3분기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9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7.6%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최빈개발도상국 지위 혜택과 낮은 인건비를 바탕으로 성장한 봉제산업은 2019년 캄보디아 GDP의 약 28%를 차지하는 주요 외화 수입원으로, 캄보디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7년으로 예상되는 최빈개발도상국 지위 상실과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주요 경쟁국 대비 높아진 인건비는 캄보디아의 수출 경쟁력에 위협으로 적용할 수 있어,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이 필요합니다.
-또한 의류 제품의 경우 복잡한 통관절차로 인한 검사 및 검사 비용의 증가도 주변국들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혀왔습니다.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의존도
-최근 캄보디아 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UNCTADstat에 의하면 2021년 양국간의 교역액은 112억 달러(전체의 24.6%)에 달했으며, 중국은 캄보디아 상품수출의 7.0% 및 상품수입의 24.6%를 점유하였습니다.
-또한, 중국은 2020년 캄보디아 내 외국인직접투자(FDI)의 53%를 차지하였고 2021년도에는 고정자산 투자가 더욱 증가하여 동 비중이 67%로 상승하였습니다.
-에너지 부문 외에도 20억 달러에 달하는 프놈펨-시아누크빌 고속도로, 공항 건설을 비롯하여 통신, 금융 서비스 등의 분야에도 중국 기업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등 중국에 대한 캄보디아의 경제의존도는 이미 과중한 수준입니다.
성장잼재력
-세계시장 진출에 유리한 관문이자 젊고 역동적인 노동력을 가진 시장입니다.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동남아시아 시장은 물론 주요 세계시장에 대한 접근이 용이합니다. 또한 베트남, 태국, 라오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중국과도 가까워 대체 또는 보조 생산기지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통계청의 일반인구조사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경제활동인구(15~64세)는 2008년 58.7%에서 2019년 62.0%로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디지털 적응력이 뛰어난 신흥 중산층이 새로운 소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정책성과
-사각전략 및 2015-2025 산업발전정책을 통한 경쟁력 강화 추진입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2004년 국가 및 경제 발전을 위한 국가전략개발계획(NSDP) 수립 이래 매 5년 주기로 사각전략을 발표,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아울러 캄보디아 정부는 2015~2025 산업발전정책을 수집, 추진 중입니다. 주요 목표는 2025년까지 산업 부문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30%까지 확대하고, 특히 제조업의 비중을 20%까지 확대하는 산업구조 개편 및 강화하고 있습니다. 수출품목 중 비봉제제품과 가공농산물의 비중을 확대하는 등 수출 증대 및 품목 다변화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입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정부재원을 보건, 의료 분야에 투입하고, 캄보디아 중앙은행의 협조하에 취약계층을 위한 빠르고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캄보디아는 2022년 9월 기준 전체 인구의 87% 이상이 코로나 19 백신 접종을 완료하였습니다. 주변국들에 비해 발빠른 정부의 대처를 보여줍니다. 지역 내 코로나19 감염은 정부의 통제 아래 있으며, 정부는 해외 입국자 중 백신 접종을 완료한 방문객에게는 제한을 전면 해제하는 등 경제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진행합니다.
-디지털 화폐를 통한 리엘화 사용 확대 및 금융 서비스 접근성 증진입니다. NBC는 2020년 10월 디지털 화폐인 "비콩"을 출시하고, 이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캄보디아는 미 달러화 결제 비중이 80%가 넘어 중앙은행의 역할이 축소되고 경제위기에 취약하였으며, 성인의 은행 계좌 및 모바일 결제계좌 보유 비율을 ASEAN 중 최하위를 기록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은 캄보디아의 경제구조 및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캄보디아의 정치와 사회안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의 국가개황과 경제동향 (30) | 2023.03.05 |
---|---|
캄보디아의 정치와 사회안정 (29) | 2023.03.04 |
캄보디아의 경상수지 적자 지속 전망 : 국가개황, 경제동향 (33) | 2023.03.02 |
시진핑 3기의 중국식 발전모델과 한국경제 (34) | 2023.02.28 |
이란의 디지털 전환 정책 (45) | 2023.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