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육아휴직급여 신청 신청방법 서류 제대로 알고 똑똑하게 신청해요

by 한량이에요 2025. 4. 26.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한량입니다.

오늘은 육아휴직급여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육아휴직급여는 일과 육아를 병행해야 하는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만 8세 이하(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육아를 위해 일정 기간 일을 쉬게 되면, 그 기간 동안 정부가 급여를 지원해 주는 프로그램이죠.

 

특히 요즘은 육아휴직급여 뿐 아니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도 함께 지원해 더 유연한 육아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육아휴직급여는 휴직을 시작한 시점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기본적으로 통상임금의 80~100%를 지원받을 수 있는데, 몇 가지 세부사항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기본 지급액
* 1~3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50만 원)

 

* 4~6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00만 원)

 

* 7개월 이후: 통상임금 80% (월 최대 160만 원)

 

💡 Tip! 육아휴직을 더 오래 사용한다고 해서 급여가 갑자기 끊기는 건 아닙니다. 다만 7개월 이후에는 상한선이 조금 낮아진다는 점 참고하세요.


육아휴직급여 특별지원: 부모 함께, 한부모 근로자라면 더 많은 지원!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일반 육아휴직급여보다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 (6+6)
자녀가 생후 18개월 이내일 때,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 동안 급여 상한이 올라갑니다.

첫 1개월 250만 원 → 6개월 450만 원까지 상한 증액

"엄마 아빠가 함께 육아에 참여하는 가정에는 정부가 더 큰 보상을 약속합니다."

 

한부모 육아휴직급여 특례
한부모 가정이라면 육아휴직 첫 3개월 동안 상한 300만 원까지 급여 인상!

4개월 이후부터는 일반 육아휴직급여 조건(80%, 상한 160만 원) 적용

 


육아휴직급여 신청 조건, 꼭 기억하세요!


아무나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가입: 휴직 개시일 기준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

* 30일 이상 육아휴직 사용: 30일을 연속 사용하지 않아도 합산 30일 이상이면 가능

* 정해진 기한 내 신청: 육아휴직 개시 1개월 이후부터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

 

✅ 고용보험 가입이 핵심입니다.
✅ 육아휴직은 사용했지만 신청 기한을 놓치면 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육아휴직급여 신청 방법, 복잡하지 않아요!


육아휴직급여 신청은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온라인 신청: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육아휴직 확인서(사업주 제출 후) → 본인이 급여 신청

2. 고용센터 방문 신청: 직접 서류 작성 후 제출

3. 모바일 앱 신청: 고용 24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

 

📌 단, 회사에 육아휴직 확인서 제출 요청을 먼저 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육아휴직 중 일하면 급여 못 받는 걸까?


육아휴직 기간 중 소득활동을 조금은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준이 있어요.

 

* 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하

* 월 소득 150만 원 이하

 

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급여 지급이 제한될 수 있고, 고의로 숨기면 부정수급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습니다.
"솔직하게 신고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육아휴직 중단, 연장, 분할 사용 가능할까?


* 육아휴직은 최대 1년 6개월까지 사용 가능

 

* 임신 중 육아휴직은 별도 제한 없이 분할 가능

 

* 출산 후 육아휴직은 2회에 한해 분할 사용 가능

 

💬 쌍둥이나 연년생이면 자녀별로 각각 1년씩, 총 2년 사용할 수도 있어요!



아이와 보내는 시간은 금보다 귀합니다.
정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경제적 걱정은 덜고 소중한 순간을 더 누리세요.
육아휴직급여는 신청 자격과 기간만 잘 챙기면 어렵지 않습니다.

 

반응형